발연점
107도 (225F)
비정제 카놀라유, 비정제 : Canola Oil, Unrefined
아마씨유, 비정제 : Flaxseed Oil, Unrefined
홍화유, 비정제 : Safflower Oil, Unrefined
해바라기유, 비정제 : Sunflower Oil, Unrefined
160도 (320F)
옥수수유, 비정제 : Corn Oil, Unrefined
고올레산 해바라기유, 비정제 : High-Oleic Sunflower Oil, Unrefined
올리브유, 비정제 : Olive Oil, Unrefined
피넛오일, 비정제 : Peanut Oil, Unrefined
해바라기유, 반정제 : Safflower Oil, Semi-Refined
콩기름, 비정제 : Soy Oil, Unrefined
월넛오일, 비정제 : Walnut Oil, Unrefined
165도 (330F)
대마씨유 : Hemp Seed Oil
176도 (350F)
버터 : Butter (Good Eats)
카놀라유, 반정제 : Canola Oil, Semi-Refined
코코넛오일 : Coconut Oil
참기름, 비정제 : Sesame Oil, Unrefined
콩기름, 반정제 : Soy Oil, Semi-Refined
180~187도 (356-370F)
베지터블 쇼트닝 : Vegetable Shortening
182~205도 (361-401 F)
돼지기름 : Lard
190도 (375 F)
올리브유 : Olive Oil (Good Eats)
198도 (389 F)
마카다미아 넛 오일 : Macadamia Nut Oil
204도 (400 F)
카놀라유, 정제 : Canola Oil, Refined
월넛오일, 반정제 : Walnut Oil, Semi-Refined
208도 (406 F)
올리브유, 엑스트라버진 : Olive Oil, Extra Virgin
210도 (410 F)
옥수수유 : Corn Oil (Good Eats)
참기름 : Sesame Oil
215도 (420 F)
면실유 : Cottonseed Oil
포도씨유 : Grapeseed Oil (Good Eats)
올리브유, 버진 : Olive Oil, Virgin
221도 (430 F)
아몬드유 : Almond Oil
헤이즐넛오일 : Hazelnut Oil
224도 (435 F)
카놀라유 : Canola Oil (Good Eats)
226도 (438 F)
올리브유 : Olive Oil
유채씨유 : Rapeseed Oil
227도 (440 F)
피넛 오일 : Peanut Oil
해바라기유 : Sunflower Oil
232도 (450 F)
옥수수유, 정제 : Corn Oil, Refined
고올레산 해바라기유, 정제 : High-Oleic Sunflower Oil, Refined
피넛오일, 정제 : Peanut Oil, Refined(Good Eats)
홍화유, 정제 : Safflower Oil, Ref. (Good Eats)
참기름, 반정제 : Sesame Oil, Semi-Refined
콩기름, 정제 : Soy Oil, Refined
해바라기유, 반정제 : Sunflower Oil, Semi-Refined
238도 (460 F)
올리브 파미스 오일 : Olive Pomace Oil
242도 (468 F)
올리브오일, 엑스트라 라이트 : Olive Oil, Extra Light
252도 (485 F)
포도씨유 : Grapeseed Oil
257도 (495 F)
대두유(콩기름) : Soy Bean Oil†
266도 (510 F)
홍화유 : Safflower Oil†
271도 (520 F)
아보카도유, 정제 : Avocado Oil, Refined
발연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했을 경우 탄화가 진행되면서 연기가 나기 시작하는데, 이 속에는 아크롤레인(acrolein)이라는 폐암 유발 물질 들어있어 건강에 매우 안 좋다.
볶음 및 튀김 : 170~220도
삶거나 찌는 요리 : 100~110도
바베큐 : 180~250도
온도가 높이 올라가는 볶음이나 튀김 요리에서 발연점이 낮은 오일을 선택하면, 불이 붙거나 건강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발연점이 높은 정제 오일을 사용한다.
반대로 샐러드 드레싱 같이 식용으로 사용하는 오일은 발연점이 낮은 비정제 오일을 사용해야 한다.
정제유를 만들기 위해서는 원재료를 볶고, 압착해서 용매를 추출한다.
용매의 착색된 색을 되돌리기 위해 탈검화 작업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단백질, 탄수화물, 미네랄, 레시틴 등 인체에 좋은 성분이 사라져 버린다.
정제와 표백, 탈취, 보존제 첨가를 마쳐야 시중에 유통되는 정제 오일이 완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만들어진 식물성 오일에는 몸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이 트랜스지방으로 바뀌면서 몸에 해롭게 변한다.
볶음이나 튀김을 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정제 오일을 사용해야 하지만 조리가 아닌 식용을 위해 먹는 오일은 가급적 몸에 해롭지 않은 비정제 오일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다.
1. 작형 및 파종시기
1) 재배형에는 봄뿌림재배, 여름뿌림재배 그리고 가을뿌림재배가 있다.
2) 봄뿌림재배는 3∼5월에 씨를 뿌려 5∼7월에 수확하는 재배형으로 지온이 9℃이상될 때 씨를 뿌리며,
조생종인 크로스바이스 이집선, 그린톱 번칭, 얼리 원더를 가꾼다.
3) 여름 뿌림재배는 주로 고랭지에서 가꿀 수 있는 작형으로 6월에 씨를 뿌려 8∼10월에 수확하는
재배형으로스바이스 이집션과 디트로이트 다크 레드가 알맞다.
4) 가을뿌림재배는 8∼9월에 씨를 뿌려 10∼11월에 수확하는 재배형으로 디트로이트 다크 레드가 좋다.
2. 재배방법
1) 거름은 10a당 질소 15kg, 인산 11~15kg, 칼리 24kg을 표준으로
질소와 칼리의 반은 뿌리비대기에 웃거름으로 준다.
2) 한개 씨를 파종하면 1개 또는 2개의 싹이 나오는데,
노지에 직파할 경우는 줄간격 30㎝에 약 2.5㎝ 간격으로 씨를 뿌리고 1∼2주후에 발아하여
키가 2∼7㎝정도 자라면 둥근 계통은 포기 간격을 약 10㎝로 해준다.
그러나 장근종은 간격을 다소 넓게 하여 키가 15㎝ 정도 자라면 약 15㎝ 간격으로 솎아준다.
3) 보통 줄뿌림을 할 경우는 10a당 약 2kg 내외의 종자가 필요하다.
그러나 파종기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파종하면 약 700g이면 충분하다.
4) 파종하기 전에 하룻밤을 물에 담그는 것이 발아를 촉진시키는데,
담그는 동안 2∼3차례 깨끗한 물로 바꿔준다. 파종할 때의 깊이는 2∼3㎝가 알맞다.
5) 비트는 이식재배도 가능한데 파종 후에 30일 이내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일반관리는 알맞게 관수하며 1∼2회 중경과 잡초 제거를 실시한다.
3. 병충해 방제
1) 병해로 잘록병과 갈색점무늬병의 피해가 많은데,
잘록병은 토양과 종자 소독을 철저히 하며 돌려짓기를하여 방제한다.
2) 갈색무늬병은 잎이 원형이며 붉은 색의 반점이 생기는데 보르도액과 다이젠을 뿌려서 방제한다.
3) 그 외 생리적으로 잎이 비틀리거나 생장점이 고사하고 뿌리의 내부에 검은 반점이 생기는 현상인
붕소 결핍증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알맞게 붕사를 뿌려준다.
4. 수확
1) 조생종은 뿌리 직경이 3㎝ 내외로 굵어지면 수확을 시작한다.
2) 중생종은 직경이 약 5㎝ 정도 되면 수확한다.
◑ 비트 재배방법
- 학명 : Beta vulgaris L. var. rapa Dumortf. rubra DC.E
- 영명 : Beet.Table beet, Garden beet
비트는 명아주과의 2년생 초본이다. 식용비트는 사탕무(Sugar beet), 차드(Chard), 근대(Mangold)와 유사한 근연작물로 표피와 내부가 붉은 샐러드용 작물로서 남부 유럽의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 비트의 분류 및 품종
비트는 갯근대(야생비트)를 비롯해 사탕무(Beta vulgaris var. saccharifera), 근대(Beta vulgaris var. cicla), 사료비트(Beta vulgaris var. alba)와 유사한 근연식물로 뿌리를 자르면 모두 나이테 같은 둥근 겹무늬가 있으며 비대하는 형태는 환상비대형이다. 뿌리를 자르면 비트만 속이 붉고 다른 근연종은 백색이다. 품종은 크게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나뉜다. 조생종은 둥근 계통으로 크로스바이스 이집션(Crosby's egyptian), 그린 톱 번칭(Green top bunching), 루비 퀸(Ruby queen), 얼리 원더(Early wonder) 등이 있다.
크로스바이스 이집션, 그린 톱 번칭, 얼리 원더는 생육일수가 60일로 조기출하용이다.
중생종은 둥근 계통으로 디트로이트 다크 레드(Detroit dark red), 퍼펙티드 디트로이트 등이 있으며 재배일수는 65~70일이다. 퍼펙티드 디트로이트는 둥글고 내부의 빛깔이 좋아 가공에 알맞다. 통조림과 가정용으로 많이 재배된다.
만생종은 긴뿌리종으로 롱 다크 블러드(Long dark blood), 롱 스므스 블러드(Long smooth blood) 등이 있다. 재배기간이 100일이상 걸리며 뿌리 직경은 4~7cm, 길이 13~16cm나 된다.
◑ 품종의 선택
뿌리의 모양이 둥근 것과 긴 것이 있다. 뿌리의 모양이 둥근 계통은 주로 조생종(早生種과) 만생종(晩生種)으로 재배기간이 60~70일 정도이며, 긴 계통은 재배기간이 100일 이상이다. 모양과 크기가 균일하고, 병에 강한 품종을 선택하도록 한다.
- 씨 뿌리는 방법 : 직파
- 필요한 씨의 양 : 1~2kg/10a
- 씨 뿌리는 깊이 : 10~15mm
- 싹 트는 온도 : 11℃
- 싹 트는 기간 : 5~7일
봄 뿌림 재배의 경우 3~5월에 씨를 뿌려 5~7월에 수확하는데, 지온이 9℃이상이 될 때 씨를 뿌리도록 한다. 한 개의 씨를 심으면 보통 2~3개의 싹이 나온다. 씨를 뿌릴 때에는 줄 간격 30cm에 2~3cm 간격으로 씨를 뿌린다. 한 가지 주의할 사항은 시금치와 비트는 서로 기지현상(忌地現像)이 심하므로, 시금치 재배 후에 비트를 곧바로 재배해서는 안 된다.
◑ 키우는 방법
- 재배 온도 : 13~18℃
- 물 주기 : 보통
- 비료 요구도 : 중간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고, 22℃ 이상에서는 생육이 나빠져 품질이 좋지 않다. 씨를 뿌린 1~2주 후에 싹이 나오고 키가 2~7cm 정도로 자라면, 둥근 계통의 비트는 약 10cm, 긴 계통은 15cm 간격으로 솎아준다.
◑ 생리장해 및 병충해 관리
- 주요 생리장해 : 붕소결핍증
- 주요 병해 : 잘록병, 갈색점무늬병
생리적으로 잎이 비틀리거나 생장점이 고사하고 뿌리의 내부에 검은 반점이 생기는 현상인 붕소결핍증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알맞게 붕사를 뿌려 주도록 한다.
잘록병과 갈색점무늬병의 피해가 많은데, 잘록병은 토양과 종자 소독을 철저히 하며 돌려짓기를 하여 막도록 한다. 갈색무늬병은 잎이 원형이며 붉은 색의 반점이 생기는데, 보르도액과 다이젠 등을 뿌려서 방제한다.
◑ 이용 부위와 영양적 가치
- 이용 부위 : 잎과 줄기, 뿌리
- 주요 영양성분 : 베타레인(betalain), 비타민 A, 칼륨 등 비트의 뿌리에는 독특한 색깔을 나타내는 베타레인(betalain) 성분과 당분 함량이 많고, 비타민 A와 칼륨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 독특한 색깔 때문에 샐러드 등의 장식용이나 식용색소로 이용되고 있다.
◑ 재배방법
- 일반 노지의 경우 2월 중순에서 5월까지 파종하고 남부 지방에서는 가을 파종도 가능하다.
- 씨앗은 8-30도의 변온이 좋으며 씨를 뿌린 후 8-14일이면 싹이 나기 시작한다.
- 직파 시 파종량은 300평당 1-1.5kg이며 재식거리는 이랑사이 30-50cm이며 씨앗 사이는 15-20cm이다.
- 옮겨심기의 경우는 파종 후 30일 이내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 생육적온은 13-18도의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22도 이상이 되면 동화 능력이 낮아 품질이 떨어지거나 내한성은 강하다.
◑ 비트의 일반적인 재배기술
종자의 발아온도는 20~30도가 좋으며 파종 후 8~14일이면 싹이 난다. 발아 후 4~10도의 저온에 15일 이상 두면 추대하나 12시간 이하의 단일조건 아래에서는 저온에 처해도 추대하지 않고 장일이 된 다음에 추대한다. 번식은 씨뿌리기로 하는데 이랑의 폭을 45cm로 조파한 뒤 솎아서 12~15cm 간격으로 관리한다. 재배형에는 봄뿌림 재배, 여름뿌림 재배, 가을뿌림 재배가 있다.
봄뿌림 재배는 3~5월에 씨를 뿌려 5~7월에 수확하는 재배형으로 지온이 9도 이상일 때 씨를 뿌린다. 여름뿌림재배는 주로 고랭지에서 가꿀 수 있는 작형으로 6월에 씨를 뿌려 8~10월에 수확한다. 가을뿌림재배는 8~9월에 씨를 뿌려 10~11월에 수확하는 재배형이다. 시비량은 10a당 질소 15kg, 인산 11~15kg, 칼리 24kg을 표준으로 하며 질소와 칼리의 절반은 근비대기에 덧거름으로 준다. 비트는 이식재배도 가능한데 이때는 파종후 30일 이내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 수확이용
- 수확 방법 : 포기 수확
조생종은 뿌리 굵기가 3㎝ 내외로 굵어지면 수확을 시작한다. 그러나 중생종은 뿌리의 굵기가 약 5㎝ 정도 되면 수확한다.
저장은 10℃정도 온도에서는 잎을 제거한 경우 5∼6개월이 가능할 정도로 저장성이 매우 높다.
- 씨앗 뿌림 후 70-150일 만에 수확하는데 조생종은 구 직경이 3cm내외 시 중생종은 약 5cm 정도일 때로 수확량은 300평당 대체로 약 2,500-4,000kg이다.
- 출하시기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최대로 늦게 수확하는 시기는 잎이 시들어 갈만한 시점이다.
◑ 영양성분
생체의 비트에는 수분이 86.4%, 단백질 2.2%, 지질 0.1%, 당질 9.1%, 섬유소 0.8%, 회분 1.1%가 들어 있다. 100g 생체중당 칼슘 14mg, 인 25mg, 철 0.4mg, 나트륨 33mg, 비타민 C 4-10mg이 들어있다.